음악을 소유한다는 것

필립 들레름의 에세이집 <아무것도 하지 않기>에는 다음과 같은 문구가 나온다.
무엇보다도 가슴 뛰는 멋진 일은 CD 한 장을 산 후에, 돌아오는 길 모퉁이에서 그걸 꺼내 들여다보는 것이다.
필립 들레름은 이 에세이집을 통해 유년 시설 아주 작은 일상의 한 장면, 한 장면을 포착하여 각각의 일상적 행위가 그에게 어떤 의미였는지 이야기한다. 나는 <아무것도 하지 않기>에 실려있는 네 번째 에세이 제목만 보고 몹시 설레었던 적이 있다. 에세이의 제목은 'CD 포장 풀기'. 제목만으로도 설렐 수 있었던 이유는 음반가게에서 CD를 구입하고 집으로 돌아가던 나의 모습과 CD를 세심히 관찰하고 CD를 통해 음악을 듣던 기억과 감정이 또렷이 떠올려졌기 때문이다.
초등학생이던 오빠에게는 워크맨이 있었지만 나는 워크맨이 없었다. 나는 그 서러움을 중학교 2학년 무렵 해소했다. 엄마에게 학원을 가든 안 가든 공부는 하지 않으니 한 달치 학원비로 않는 대신 CDP(시디플레이어)를 사달라고 졸랐다. 그리하여 나는 워크맨을 건너뛰고 CDP를 쟁취했다. 그 이후 나는 학원을 영영 가지 않았다.
초등학교 6학년 때 아파트 상가에 있던 작은 음반가게에서 처음으로 카세트테이프를 산 후 대학생 때까지 뻔질나게 음반가게를 드나들었다. CDP를 갖고 있었고 음반가게를 자주 방문했지만 CD는 비쌌기 때문에 구경만 하고 나오는 경우가 많았다. 그때는 음반가게 진열대에 가지런히 진열되어 있는 CD들을 보기만 봐도 황홀했다.
